![]() |
K-CEO(지식최고경영자)의 역할
지식경영 기반을 구축합니다.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공동의 지식창고를 만들고 관리하는 계획을 앞장서 추진해야 합니다. 또 기업전체에 지식문화를 형성하는 역할을 합니다. 전체 조직원이 조직뿐 아니라 자기 스스로의 발전을 위해서도 지식이 가장 중요한 자원이라는 사실을 받아들이는 분위기가 형성될 때 문화는 시작됩니다. 이를 위해 다양한 촉진 제도를 도입하는 것도 지식최고경영자의 역할입니다.
한편 지식경영을 통해 바뀌어 가는 변화를 주시하고 관리하는 것도 지식최고경영자의 역할입니다. 열을 뿜는 지식공유의 분위기 속에서 얻어진 핵심 지식을 수익확대와 비용감소를 위해 이용하고, 다시 결과를 공유하도록 유도하는 변화과정을 경영해야 합니다. |
![]() |
K-CEO 과정이란
K-CEO 과정은 지식신문 매일경제신문과 KAIST테크노경영대학원이 지식경영을 통해 기업을 혁신하고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지난 1998년 7월 개설한 CEO교육과정으로, 2005년 15기까지 약 500여명의 저명 기업 최고경영자와 임원들이 K-CEO과정을 거쳐갔습니다.
K-CEO과정을 거친 CEO들은 지식경영에 대한 주요 이론과 지식경영의 다양한 성공사례, 현장견학 등을 통해 기업혁신과 경쟁력 강화를 위한 CEO의 역량을 증가시킬수 있었습니다. 또한 정보술을 이용한 지식관리시스템의 구축 등 지식경영에 정통한 CEO가 됨은 물론 지식경영 도입에 필요한 조언과 진단을 받는 클리닉 세션에도 참여했습니다. K-CEO를 통해 얻어지는 인적 네트워크 또한 K-CEO의 자랑거리였습니다. 매월 열리는 총동문회 조찬강연과 연 2회의 총동문회 골프대회, 기수별 동문 만찬, 골프회동, 부부동반 문화행사 등을 통해 동문간 유대를 돈독히 하고 인적 네트워크를 강화할 수 있었습니다. K-CEO과정을 수료한 분들은 K-CEO 총동문회원으로 현재까지도 매일경제신문 KAIST테크노경영대학원과 지속적인 유대를 갖고 각종 공개강좌, 포럼, 행사 등에 최우선적으로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
1998.08.19
|
매경-KAIST 최고지식경영자(CKO)과정 개설을 위한 산학협동협정 체결
|
|
1998.09.29 ~ 1998.12.10
|
제1기 매경 - KAIST 최고지식경영자(CKO)과정
|
|
1999.02.25 ~ 1999.06.03
|
제2기 매경 - KAIST 최고지식경영자(CKO)과정
|
|
1999.08.26 ~ 1999.12.90
|
제3기 매경 - KAIST 최고지식경영자(CKO)과정
|
|
2000.03.02 ~ 2000.06.15
|
제4기 매경 - KAIST 최고지식경영자(CKO)과정
|
|
2000.08.31 ~ 2000.12.07
|
제5기 매경 - KAIST 최고지식경영자(CKO)과정
|
|
2001.02.22 ~ 2001.05.31
|
제6기 매경 - KAIST 최고지식경영자(CKO)과정
|
|
2001.08.30 ~ 2001.12.13
|
제7기 매경 - KAIST 최고지식경영자(CKO)과정
|
|
2002.02.28 ~ 2002.06.12
|
제8기 매경 - KAIST 최고지식경영자(CKO)과정
|
|
2002.08.29 ~ 2002.12.20
|
제9기 매경 - KAIST 최고지식경영자(CKO)과정
|
|
2003.03.06 ~ 2003.06.12
|
제10기 매경 - KAIST 최고지식경영자(CKO)과정
|
|
2003.08.29 ~ 2003.12.20
|
제11기 매경 - KAIST 최고지식경영자(CKO)과정
|
|
2004.02.19 ~ 2004.06.24
|
제12기 매경 - KAIST 최고지식경영자(CKO)과정
|
|
2004.08.26 ~ 2004.12.16
|
제13기 매경 - KAIST 최고지식경영자(CKO)과정
|
|
2005.02.24 ~ 2005.06.23
|
제14기 매경 - KAIST 최고지식경영자(CKO)과정
|
|
2005.08.25 ~ 2005.12.15
|
제15기 매경 - KAIST 최고지식경영자(CKO)과정
|